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통계자료 사이트 어디서 찾아야 할까? 창업 전에 꼭 확인한 통계포털 5곳

카테고리만드는중

by HOHOmoney 2025. 11. 16. 03:09

본문

반응형

통계자료 사이트 어디서 찾아야 할까? 창업 전에 꼭 확인한 통계포털 5곳
최근 저는 오랜 기간 이어온 돌봄과 유아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작은 어린이집이나 그림책교습소를 열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준비를 시작하고 나니 생각보다 막막했습니다.
“우리 동네 아이들이 얼마나 될까?”
“이 지역에 이미 학원이 많지는 않을까?”
“부모들이 원하는 교육은 어떤 걸까?”
직접 사람에게 묻는 것도 중요하지만, 창업은 데이터 기반이 되어야 확신을 가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찾게 된 것이 바로 공식 통계자료 사이트들입니다.

 


1. KOSIS통계포털 – 대한민국 대표 통계 플랫폼
KOSIS통계포털(https://kosis.kr)은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국가 대표 공공 통계 사이트입니다.




지역별 인구, 출생아 수, 학급 수, 유아 인구 변화 추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창업 입지 분석에 아주 유용합니다.


예: 우리 동네 초등학교가 2학급뿐이라면, 0~9세 유아 인구 감소가 실제 데이터로 나타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국세통계포털 – 창업 전 반드시 봐야 할 세금·매출 정보


국세통계포털은 업종별 수입 금액, 사업자 수, 업종별 평균 매출, 부가세 신고 현황 등을 제공합니다.


학원, 유아교육업, 소규모 교습소 등 원하는 업종을 검색하면 평균 매출과 지역별 창업 밀도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수익성 검토에 필수입니다.

 

 





3. 통계분류포털 – 산업분류·교육분류 기준 확인


처음에는 낯설지만, 사업자 등록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입니다.
통계분류포털에서는 내가 시작할 사업이 정확히 어떤 분류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업분류포털과 함께 보면 더욱 좋습니다.


예: 그림책교습소는 ‘기타 교육지원 서비스업’인지, ‘기타 교육기관’인지 분류 코드 확인 필요.

 





4. 세종통계포털 – 지역 기반 맞춤형 통계


세종특별자치시 통계포털이지만, 다른 지자체들도 비슷한 포털을 운영 중입니다.


지역별 학급 수, 어린이집 등록 현황, 인구 밀도 등 생활밀착형 정보가 많습니다.


소규모 지역 중심 창업자라면 특히 참고할 만합니다.

 

 




5. 미디어통계포털 – 통계 활용 콘텐츠 참고


미디어통계포털은 통계를 활용한 기사, 보고서,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숫자가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시각화된 정보로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입문용으로 좋습니다.


통계를 이용한 콘텐츠 구성에도 도움이 됩니다.

 



정리하며 – 통계자료는 창업의 나침반입니다

 

요즘은 '감'이 아니라 '데이터'가 사업의 방향을 잡아줍니다.
통계자료 사이트는 단순히 숫자만 모여 있는 곳이 아닙니다.
나의 사업이 가능한가, 이 지역에서 지속 가능할까, 내가 하는 일이 필요한가를 보여주는 결정적 근거가 되어줍니다.
KOSIS통계포털, 국세통계포털, 통계분류포털, 세종통계포털, 미디어통계포털.
이 다섯 곳은 제가 창업을 준비하며 진짜로 찾고 분석했던 사이트들이며, 지금도 수시로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